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는 누구나 쓸수 있으나 아무나 시인이 되는것은 아니다...
2017년 04월 03일 00시 07분  조회:2586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창작의 기본  - 나호열

1. '시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를 내리려고 집착하지 않는다. 
시는 설득의 문학이 아니라 암시의 문학임을 이해한다(춤은 동작 자체의 미를 추구하고, 
걸음은 목적지로 다가서는 것이다) 
2. 시의 생명은 하고 싶은 메시지를 압축과 비약을 적절하게 사용하는데 있다.(상징과 이미지 중심)
3. 주제와 소재에 대한 개념을 숙지한다.(주제: 내가 전하고 싶은 이야기의 요지
소재: 주제를 잘 드러내게 하기 위하여 시용되는 도구) 
4. 어려운 한자어, 겉으모 멋있는 단어에 집착하지 말 것. 
5. 비유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직유:simile: 비교를 통한 유사성 추구 
은유:metaphor: 유사성의 측면: 직관과 상상력, 환유: 인접성 
우유allegory: 속담,우화 
반어법:irony: 의인법,의물법 
6. 사실에 대한 통찰과 이해 그리고 상상력을 연마한다. 
* 사물에 대한 선입관이 없는 순수한 관찰과 더불어 과거경험을 바탕으로하는 왕성한 상상력 

*오노 도사부로 小野十三廊 =
나는 하나의 사실이나 사건을 보고 경험함으로서 얻어진 감동을 일단은 잊어버리려고 한다. 
아무리 강하게 마음에 와 닿았어도 그것을 당장 시로만들려고 하지 않는다. 
감동이란 것은 생짜일 적에는 쓸모가 없는 것이라 우선 그것을 마음 속에 처넣어둔다. 어떤 이들은 무쇠는 달아 있을 때 두드려야 한다고들 하지만 나는 도리어 감동을 식혀버린다. 
나는 감동을 일단 잊어버릴수록 또 그것을 내칠수록 오히려 그것을 보다 소중히하고 보다 확실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7. 훌륭한 시란 뼈를 저미는 고통의 작업에서 빚어지고, 예지(작가의 자질)와 
끊임없는 노력의기념비요, 의지와 분석의 소산이다. - 폴, 발레리 
8. 행가르기의 유형을 체득한다
1) 이미지 중심으로 행을 나누는 법: 가장 많이 쓰인다: 회화적,음악적 이미지를 위한 행가르기 
2) 의미 중심으로 행과 연을 나눈다 
3) 행가름을 하고 연 구분은 하지 않는다 
4) 산문시의 형식 
5) 2분 구성법, 정,반,합의 3 분 구성법, 기.승.전.결의 4 분 구성법 역거식 구성법 
9. 시의 형식은 내가 만드는 것이다.형식이나 내용을 구성하는데 자신만이 이야기할 수 있는 창조력이 발휘되어야 한다. 
10. 기행문이나 수필, 독서 감상문등을 꾸준히 써 본다. 
11. 틈틈이 신문기사나 잡지 등에서 필요한 기사를 스크랩하고 활용하는 습관을 기른다. 
12. 가급적 많은 시집을 읽되, 자신으 취향과 맞지 않는 시집을 골고루 읽고, 논리적인 해석을 가해 본다. 
13. 맞춤법과 띄어쓰기 공부는 글쓰기의 기본이다. 
14. 시는 누구나 쓸 수 있으나 아무나 시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시인에게는 무엇보다도 어린아이와 같은 순수와 삶에 대한 열정, 자기자신에 대한 준엄한 비판이 있어야 한다. 
15. 모든 공부에 지름길은 없다. 특히 시창작은 오랜 숙련기간을 요구하므로 인내를 가지고 공부해야 한다.(노력만큼 아름다운 일은 없다!) 

/나호열교수(경희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70 사투리는 향토인의 살과 피이자 호흡이다... 2022-06-08 0 2653
1569 나는 어떻게 조선족이 되었나 / 남영전 2021-12-20 0 2312
1568 [문단소식]- 훈춘 김동진시인 "풍경소리" 울리다... 2021-09-07 0 2289
1567 [시공부사전] - 담시(譚詩)? 2021-05-29 0 2686
1566 하이퍼시 명언 21 / 최흔 2021-05-25 0 2730
1565 하이퍼시 명언 20 / 최흔 2021-05-25 0 2694
1564 하이퍼시 명언 19 / 최흔 2021-05-25 0 2479
1563 하이퍼시 명언 18 / 최흔 2021-05-25 0 2533
1562 하이퍼시 명언 17 / 최흔 2021-05-25 0 2492
1561 하이퍼시 명언 16 / 최흔 2021-05-25 0 2530
1560 하이퍼시 명언 15 / 최흔 2021-05-25 0 2650
1559 하이퍼시 명언 14 / 최흔 2021-05-25 0 2353
1558 하이퍼시 명언 13 / 최흔 2021-05-25 0 2599
1557 하이퍼시 명언 12 / 최흔 2021-05-25 0 2597
1556 하이퍼시 명언 11 / 최흔 2021-05-25 0 2501
1555 하이퍼시 명언 10 / 최흔 2021-05-25 0 2564
1554 하이퍼시 명언 9 / 최흔 2021-05-25 0 2603
1553 하이퍼시 명언 8 / 최흔 2021-05-25 0 2429
1552 하이퍼시 명언 7 / 최흔 2021-05-25 0 2428
1551 하이퍼시 명언 6 / 최흔 2021-05-25 0 2545
1550 하이퍼시 명언 5 / 최흔 2021-05-25 0 2450
1549 하이퍼시 명언 4 / 최흔 2021-05-25 0 2500
1548 하이퍼시 명언 3 / 최흔 2021-05-25 0 2544
1547 하이퍼시 명언 2 / 최흔 2021-05-25 0 2581
1546 하이퍼시 명언 1 / 최흔 2021-05-25 0 2625
1545 토템시에 대한 탐구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 김룡운 2021-05-24 0 2457
1544 토템과 민족문화 / 현춘산 2021-05-24 0 2253
1543 남영전 토템시의 상징이미지/ 현춘산 2021-05-24 0 2746
154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시인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0 0 2772
1541 시인 최기자/ 소설가 허련순 2021-05-03 0 2526
1540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6 2021-03-02 0 2589
1539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5 2021-03-02 0 2681
1538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4 2021-03-02 0 2467
1537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3 2021-03-02 0 2873
1536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2 2021-03-02 0 2789
1535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1 2021-02-19 0 2879
1534 [시공부] - 투르게네프 산문시 2021-01-18 0 3073
1533 [시공부] - 김기림 시인 2021-01-18 0 3446
1532 [타산지석] - 늘 "이기리"... 꼭 "이기리"... 2020-12-28 0 3245
1531 토템시/ 범= 남영전, 해설= 현춘산(8) 2020-10-10 0 3129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